2013. 3. 12. 14:08ㆍ이하의 흔적들
백두대간(白頭大幹)의 조령산(鳥嶺山) 마루를 넘는 이 재는 예로부터 한강과 낙동강유역을 잇는 영남대로상의 가장 높고 험한 고개로 사회 문화 경제의 유통과 국방상의 요충지였다. 새재(鳥嶺)는 「새도 날아서 넘기 힘든 고개」, 옛 문헌에 초점(草岾)이라고도 하여 「풀(억새)이 우거진 고개」 또는 하늘재, 麻骨嶺)와 이우리재(伊火峴) 사이의 「새(사이)재」, 새(新)로 된 고개의 「새(新)재」 등의 뜻이라고도 한다.
임진왜란 뒤에 이곳에 3개(주흘관, 조곡관, 조령관)의 관문(사적 제 147호)을 설치하여 국방의 요새로 삼았다. 이 곳은 자연경관이 빼어나고 유서 깊은 유적과 설화·민요 등으로 이름 높은 곳이다. 이 곳에는 나그네의 숙소인 원터, 신구 경상도관찰사가 관인을 주고 받았다는 교귀정터만 남아있는 것을 1999년 중창하였고, 옛날에 산불을 막기 위하여 세워진 한글 표석 "산불됴심" 비(지방문화재자료 제226호)가 남아있다.
그리고 역사에 얽힌 갖가지 전설을 비롯하여 임진왜란과 신립(申砬) 장군, 동학(東學)과 의병(義兵)이 남긴 사담(史談)이 골골이 서리어 있는 역사의 현장이다. 이 일대를 1974년 지방기념물(제18호), 1981년 도립공원으로 지정, 보호하고 있어 전국에서 관람객이 많이 찾고 있는 곳이다.
▲제 1관문(주흘관)을 지나면 제2관문(조곡관) 앞 조곡교에서...
▲영남제2관문 조곡관 뒤편...
▲낙동강 발원지를 지나 영남제3관문인 조령관을 통과하면 충북 괴산의 고사리마을이 나온다.
'이하의 흔적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봄맞이 시낭송회/2013년 4월 18일/메종드카페에서 (0) | 2013.04.21 |
---|---|
제10회 이육사문학축전 행사를 마친 후 엄재국 시인의 작업실 <천년보기>에서 뒤풀이... (0) | 2013.04.16 |
대구에 있는 50사단 보수대에 배치받은 첫째놈 면회를 다녀와서... (0) | 2013.03.12 |
시와경계5주년 기념 문학축전/2013년 3월2일 오후 4시 대전 파란창/ 식 후 뒤풀이 <사랑채>에서 (0) | 2013.03.03 |
봉정사 뒷산 천등산을 올라 흔적을 남김... (0) | 2013.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