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의 흔적들(1802)
-
새봄맞이 시낭송회/2013년 4월 18일/메종드카페에서
▲'별리'를 낭송하고 있는 이위발 시인 ▲인사말을 하고 있는 전통문화컨텐츠개발사업단 김석현 사무국장 ▲육사 선생의 유일한 혈육인 따님 이옥비 여사님, 조영일 이육사문학관 관장님, 지례예술촌 김원길 톤장님, 김명자 전 안동주부문학 회장님 ▲사회를 보고 있는 안동 간고등어 ..
2013.04.21 -
제10회 이육사문학축전 행사를 마친 후 엄재국 시인의 작업실 <천년보기>에서 뒤풀이...
▲엄재국 시인의 작업실 천년보기 앞에서...앞줄 왼족부터 공광규 시인, 상주 숲문학 회원, 김경복 경남대 교수, 황정산 대전대 교수, 뒷줄 왼쪽 안상학 시인, 이형권 충남대 교수, 송찬호 시인, 시 낭송가, 김이듬 시인, 김승기 시인, 김형정 세명대 교수, 엄재국 교수, 이위발 시인 ▲이육..
2013.04.16 -
백두대간의 조령산 마루를 넘어「새도 날아서 넘기 힘든 다는 고개」문경 새재(鳥嶺)를 다녀와서...
백두대간(白頭大幹)의 조령산(鳥嶺山) 마루를 넘는 이 재는 예로부터 한강과 낙동강유역을 잇는 영남대로상의 가장 높고 험한 고개로 사회 문화 경제의 유통과 국방상의 요충지였다. 새재(鳥嶺)는 「새도 날아서 넘기 힘든 고개」, 옛 문헌에 초점(草岾)이라고도 하여 「풀(억새)이 우거..
2013.03.12 -
대구에 있는 50사단 보수대에 배치받은 첫째놈 면회를 다녀와서... 2013.03.12
-
시와경계5주년 기념 문학축전/2013년 3월2일 오후 4시 대전 파란창/ 식 후 뒤풀이 <사랑채>에서
▲윤의섭 시인(아주대 교수), 윤관영 시인, 김왕노 시인, 이위발, 김영찬 시인, 최광림 시인, 최종천 시인... ▲십여년 만에 만난 최준 시인과... ▲김정수(베엔엠커뮤니케이션 이사), 이위발, 임동확(한신대 문창과 교수), 김왕노 시인(시와경계 주간)
2013.03.03 -
봉정사 뒷산 천등산을 올라 흔적을 남김... 2013.02.26